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🏠 경매와 급매, 무엇이 더 싸게 살 수 있을까?

by 매일매일 행복한 나그네~ 2025. 7. 17.
반응형

 

 

 

실거래가보다 저렴하게 집을 살 수 있는 두 가지 방법, 바로 경매급매입니다. 둘 중 어떤 방식이 더 싸고 안전할까요?

의결봉 과 경매


📌 경매란?

부동산 경매는 채무자가 빚을 갚지 못할 경우, 법원이 해당 부동산을 강제로 매각해 채권자에게 돈을 돌려주는 과정입니다. 법원 주관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절차가 체계적이며, 일반 매물보다 10~30% 저렴한 낙찰가도 가능합니다.

  • ✔️ 장점: 시세 대비 저렴한 낙찰 가능
  • ✔️ 단점: 권리분석 필요, 명도 문제 발생 가능
  • ✔️ 주의: 낙찰가 외 추가비용(체납관리비, 명도비용 등)

📌 급매란?

급매물은 집주인이 긴급하게 현금이 필요해 시세보다 낮은 가격에 집을 파는 경우입니다. 일반 중개 시장에서 거래되며, 대출이나 입주 절차가 일반 매물과 동일하다는 점에서 실수요자에게 유리합니다.

  • ✔️ 장점: 안전한 소유권 이전, 일반 매매처럼 진행
  • ✔️ 단점: 수량이 적고, 빠르게 소진됨
  • ✔️ 팁: 직거래 사이트나 네이버부동산 급매 필터 활용

⚖️ 경매 vs 급매 비교표

항목 경매 급매
구매가 시세 대비 10~30% 저렴 시세 대비 5~15% 저렴
안전성 권리분석 필요 중개소 통해 안정적 거래
소유권 이전 명도 이슈 발생 가능 일반 매매와 동일
대상 물건 부실채권 중심 급한 자금 필요자

💡 어떤 사람에게 어떤 방법이 좋을까?

실수요자라면

급매

가 더 적합합니다. 입주와 대출, 권리확보가 수월하고 안전하기 때문이죠.
투자자라면

경매

가 더 매력적일 수 있습니다. 위험을 감수하면 더 큰 시세 차익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.

TIP: 급매도 잘만 찾으면 경매 못지않은 기회를 잡을 수 있습니다. 아래 링크에서 급매 리스트를 확인해보세요.

👉 네이버부동산 급매 찾기

🔎 실제 사례 비교

[사례1] 서울 ○○아파트, 84㎡형
- 실거래가: 12억 원
- 급매가: 10.8억 원
- 경매 낙찰가: 9.7억 원 (명도비 + 관리비 1천만 원 별도)

[결론] 경매가 더 저렴했지만 명도와 권리분석, 입주까지 시간이 오래 걸렸습니다. 실수요자라면 급매 선택이 더 현명할 수 있습니다.

📝 마무리

‘경매 vs 급매’는 단순히 가격 비교가 아니라, 당신의 목적과 상황에 따라 판단해야 합니다. 실거주 목적이라면 안정적인 급매를, 투자라면 위험을 감수한 경매를 고려해보세요.

 

반응형